손목 관절 및 팔꿈치 관절은 일상 생활 혹은 작업 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관절로 다양한 질환들이 발생하고 있지만, 해부학적 구조 및 운동 기전이 복잡하기 때문에 치료가 매우 어려운 분야 중 하나입니다.
손목을 굽히거나 펴는 근육이 시작되는 팔꿈치 부위에 동통이나 국소 압통이 생기는 증후군으로 바깥쪽 상과염을 테니스엘보, 안쪽 상과염을 골프엘보 라고 부릅니다.
진단 및 치료
팔꿈치 과사용 증후군의 일종으로, 팔꿈치 안쪽 뼈에는 손목 사용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근육과 힘줄들이 관여하게 되는데, 반복적으로 무리한 동작을 하게 되면서 힘줄이 파열되면 염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최대한 휴식을 취하고 관절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보호대, 통증 경감을 위한 소염진통제 등을 복용합니다. 증상에 따라 국소 스테로이드 주사요법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손목 터널증후군처럼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주관(팔꿈치터널)이 좁아지면서 척골신경이 눌려 통증이 발생하는 팔꿈치 질환입니다.
진단 및 치료
과도한 팔꿈치 사용이 주된 원인이며 과거 외상으로 주로 손을 많이 사용하는 악기연주자, 미용사, 엔지니어 등의 직업군에서 많이 발생하며, 가사일을 하는 여성에게도 흔히 발병합니다. 최근에는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잦은 사용으로 젊은층에서도 자주 발견됩니다.
팔꿈치 관절을 과하게 굴곡시키는 것이 원인이므로 턱을 괴거나 팔을 책상에 기대고 일하는 등 잘못된 생활습관을 개선합니다. 이와 더불어 약물치료, 고정치료와 같은 비수술적 치료를 병행하면 호전 가능합니다.
팔꿈치 부근의 힘줄과 뼈, 피부사이에 마찰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는 점액낭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진단 및 치료
주두 점액낭염은 팔꿈치 뼈 주변에 있는 주두 점액낭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팔꿈치를 책상에 대고 자주 문질러 근육의 미세손상이 생기기 쉬운 학생들에게 자주 발생한다고 해서 ‘학생 주관절(student elbow)’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무조건 수술을 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주두 점액낭염을 방치하면 치료 과정이 복잡해지고 회복 기간마저 길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초기에는 팔꿈치 관절의 안정이 필요하며 약물치료, 주사치료, 체외충격파 치료 등 보존적 치료를 먼저 시행합니다.
신경외과 전문의
1:1맞춤진료 및 치료
안전하고 정확한
의료장비 보유
비수술적 방법을 통해
낮은 부작용, 높은 안정성
쾌적한 의료환경 및 시설
입원실 가동
상담 및 문의
FAX. 070.8230.7511
진료시간
점심시간 13:00 ~ 14:00
*일요일 휴진